짐조
(사진 설명 : 『삼재도회(三才圖會)』에 묘사된 짐조)
짐조 (鴆鳥)는 중국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맹독을 가진 새이다. 짐새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 새의 독으로 만든 독을 짐독(鴆毒), 그 독으로 만든 술을 짐주(鴆酒), 짐주로 사람을 죽이면 짐살(鴆殺)이라고 하였다.
짐조는 중국 남방의 광동성(廣東省)에서 살았다고 한다. 크기는 독수리 정도로 녹색의 깃털, 그리고 구리 색을 가진 부리를 가졌다고 한다. 몸은 검은 빛이고 눈알은 붉은 빛으로 살모사(殺母蛇)와 야생하는 칡을 먹고 살며, 온몸에 독기가 있어 그 새가 논밭 위를 날면, 그 아래 논밭은 모두 말라 죽었다고 한다. 또 그 깃털에 술잔이 스치기만 해도 이를 마시는 사람은 곧 독사(毒死)한다고 하며, 이에 따라 그 깃을 술에 담근 뒤 이 술로 사람을 독살하기도 하였다. 돌아래에 숨어 있는 뱀을 잡아 먹는데, 대변을 걸치면 돌이 부서졌다고 하는 기술도 있다.
문헌상의 짐조와 실재 가능성
한비자(韓非子)나 사기(史記) 등의 기원전의 고대 문언에 따르면, 짐조의 깃털에서 모은 독은 짐독으로 불리며, 예전부터 자주 암살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짐독은 무미 무취인데다가 수용성이며, 짐의 깃털을 한 장 담그어 만든 독주로는 들키는 일 없이, 상대방을 죽일 수 있었다고 한다.
춘추시대의 노장공(魯荘公) 계승전쟁때, 장공의 막내 아우인 계우(季友)는 형인 숙아(叔牙)를 짐주를 먹여 죽였다.(사기의 魯周公世家) 또한, 진시황에 의해 의해서 처형될 것을 두려워한 여불위(呂不韋)는 짐주를 먹고 자살하는 등 (사기 여불위전) 고대 문헌에는 짐주로 인한 사망 이야기가 다수 존재한다.
기원전 문헌에 따르면 짐조가 살았다고 여겨지는 지역은 양자강(揚子江) 이남이며, 진대(晋代)에 들어와서는 짐조를 양자강 이북에 반입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금지령이 있었다. 송대(宋代)에 와서는 그 금지령이 잘 지켜지지 않아서, 황제가 짐조를 없애기 위해서 짐조가 사는 산을 불태우라고 명령했다던가, 짐조 병아리를 성안으로 가지고 왔다는 남자를 체포하여, 그 남자와 병아리를 같이 죽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를 끝으로 문헌상의 기록이 끊어지게 되지만, 그 무렵의 기록은 문헌마다 제각각으로 통일성이 없고, 벌써 전설상의 존재가 되어 버린 모습을 보인다. 당대(唐代)에 이르면 당시의 정부도 짐조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659년에 간행된 의약서인 신수본초(新修本草)에도 그 존재를 알 수 없다고 하였다. 조류학자들에 따르면 새 중에서 유독한 새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짐조는 용이나 봉황처럼 단순한 상상속의 동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1992년에 뉴기니 섬의 원주민 사냥꾼들이 옛부터 먹을 수 없는 새로서 여기고 싫어하던 피토휘(Pitohui)라는 새에게는 깃털에 독이 있음이 알려진 이후부터는 일찍이 짐조가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게 되었다. 다만 피토휘의 생김새는 산해경(山海經) 등에 나와 있는 짐조의 모습과는 닮아 있지 않다.
짐독과 코뿔소 뿔
짐조의 독을 해독하기 위해서는 코뿔소 뿔이 효과가 있다는 미신이 언제부터인가부터 퍼지게 되었고, 독주에 의한 암살을 무서워한 중국 역대의 황제나 고위의 귀족들은, 코뿔소의 뿔로 완성된 잔을 얻고자 노력했다.
이 코뿔소 뿔의 해독제 효과에 관련한 미신은, 짐조의 기록이 사라진 이후부터는, "코뿔소뿔은 짐조의 독 뿐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독에 대해서 유효하다"라든가 또는 "엄청나게 좋은 정력제이다"라는 식으로 바뀌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때문에 오늘날 세계 각지의 한방 약국(漢方薬局)들은 코뿔소뿔을 비상식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거래하고 있고, 이 영향으로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코뿔소는 멸종위기에 몰릴 정도로 그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현재 코뿔소의 모든 종류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워싱톤 조양)에 따라 코뿔소가 사는 지역 국가로부터 엄중한 보호를 받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을 받고 팔려는 밀렵자들에 의한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게다가 코뿔소의 뿔에 관련된 미신이 이제는 서양에까지 전해져, 유니콘의 뿔에는 물을 맑게 한다는 다른 미신을 낳았다.
짐조가 등장하는 작품
다른 보기
피토휘(Pitohui): 깃털에 독이 있다는 뉴기니에서 최근에 그 존재가 알려진 새
* 출처 : 위키백과, 2013-03-19
------------------------------------------------------------
피토휘
두건피토휘(Hooded pitohui, Pitohui dichrous)
피토휘(pitohui)는 뉴기니 섬에만 사는 새로서, 때까치딱새과(Pachycephalidae)의 속(屬, genus) 이름이다. 그 속(屬)에는 6개의 종(種)이 있다. 6개의 종 가운데 5개의 종은 독을 가지고 있다
종(種)
피토휘들은 밝은 색깔의 깃텃을 가지고 있고, 아무거나 먹는 잡식성이다. 어떤 피토휘들은 (특히 w:Variable Pitohui와 w:Hooded Pitohui) 피부와 깃털에 바트라코톡신계열의 신경독(神経毒) 성분의 가진 강력한 알칼로이드를 가지고 있다. 바트라코톡신은 콜롬비아 독개구리에도 가지고 있다)
이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에 이 조류는 화학적인 방어 기능을 갖게 되었으며, 아마도 외부 기생충을 없애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자신을 잡아 먹으려는 뱀이나 파충류 또는 인간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새는 바트라코톡신을 자기 자신이 스스로 만들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며, 새가 잡아 먹는 w:Choresine 속에 해당하는 풍뎅이를 잡아 먹고 그 독성분을 얻는 것으로 보인다. 이 독 때문에 먹을 수 없는 새로 생각해서, 파푸아 뉴기니 사람들은 이 새를 "쓰레기 새"라고 불렀다. 하지만 먹을 것이 궁해지면, 깃털과 피부를 벗겨낸 다음, 숯가루를 바른 다음에 구워서 먹었다고 한다.
w:Hooded Pitohui은 꽤 밝은 깃털을 가지고 있고, 배쪽은 붉으며, jet black head을 가지고 있다. w:Variable Pitohui은 말 그대로 여러가지 모양을 가진 피토휘를 포함하고 있으며, 깃털 모양에 따라 약 20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중에서 2개의 아종은 w:Hooded Pitohui을 꽤 닮아 있다.
피토휘의 깃털이 눈부시게 밝은 이유는 경계색의 일종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Hooded Pitohui와 어떤 Variable Pitohui 들이 닮아 있는 이유는 동물이 다른 동물을 흉내내는 의태의 일종인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함으로써 독이 없는 자기 자신도 독을 가진 것으로 다른 포식자들로 하여금 착각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참고문헌
다른 보기
* 출처 : 위키백과, 2013-03-20
-----------------------------------------------------
독새
독새 는 독을 가진 새를 말한다.
어떤 새들은 포식자들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독(毒) (또는 독소(毒素))를 만들어낸다. 새 중에서 독을 실제적으로 뱉어내는 새는 존재하지 않지만, 어떤 새들은 독을 포함하고 있어서, 먹거나 만지거나 하면 안된다. 이런 새들은 먹이로 먹은 동물이나 식물 또는 독을 가진 곤충으로부터 독을 얻는다. (대개의 경우 독을 가진 공충으로부터 독을 얻는다)
피토휘나 ifrita 그리고 Rufous 또는 Little Shrikethrush 들은 피부나 깃털에 바트라코톡신 독소를 분비한다.[1]
중국에서는 당국이(距翅雁)로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소메바간으로 알려져 있는, Spur-winged Goose 는 가뢰과에 해당하는 딱정벌레를 먹고 독을 몸속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먹을 수 없는 새이다.
메추라기와는 달리 유럽 메추라기 는 특정한 때에는 독이 있어서 먹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새와 관련 있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Sinornithosaurus)라는 고대 공룡도 물어 뜯어면서 독을 뱉어낸 것으로 보인다.
주석
1. ↑ Darren Naish (November 20, 2008). Ifrita the poisonous passerine. ScienceBlogs. 2010년 6월 28일에 확인.
* 출처 : 위키백과, 2013-03-16
'BuzzWeb > BUZ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가 집착한 혈액형 연구의 변천사 (0) | 2013.05.29 |
---|---|
캐러비안 해적과 원피스에 나오는 역사 속 해적들 (0) | 2013.05.25 |
[용어]비브리아, 성서의 어원 (0) | 2013.03.26 |
필요한 유전자만 남기고 ‘모두’ 버려라! (0) | 2013.01.31 |
스티븐 호킹은 “사람인가, 뇌인가, 기계인가“ (0) | 201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