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zzWeb/인물열전

안중근 의사 유묵(安重根義士遺墨)

BUZZWeb 2014. 1. 25. 09:16

안중근 의사 유묵(安重根義士遺墨)

 

 

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은 안중근(1879∼1910)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고 여순감옥에서 목숨을 다할 때까지 옥중에서 휘호(揮毫: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이르는 말)한 유묵(遺墨:살아있을 때에 써 둔 글씨나 그린 그림)들을 일괄해서 지정한 것이다.

안중근은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의 요청으로 산포군을 조직하여 동학군을 진압하려고 나서자 이에 참가하였다. 1906년 삼흥학교를 설립하고, 돈의학교를 인수하여 학교경영에 전념하기도 했다. 항일무장투쟁을 시작한 후 일본군 정찰대를 공격, 격파했으며,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태운 열차가 하얼빈에 도착하여 그가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고 군중 쪽으로 발길을 옮기는 순간 권총을 쏴 3발을 명중시켰다. 여순감옥에 수감된 후 1910년 3월 26일 형장에서 순국하였다.

이 문화재들은 각각의 소재와 소유자가 서로 다르고, 형식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보물 제569호의 1호인 ‘백인당중유태화(百忍堂中有泰和)’, 보물 제569호의 2호인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 보물 제569호의 14호인 ‘제일강산(第一江山)’ 등이 있고, 보물 제 569호의 26호에 이르기까지 총 26편이며, 끝에는 모두 안중근이 썼다는 글과 장인(掌印:손바닥으로 찍은 도장)이 찍혀 있다.

이 문화재는 독립운동사 연구 및 안중근 개인사(個人史)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1910년 2월과 3월에 걸쳐 여순옥중에서 휘호한 안중근 특유의 고귀한 유묵은 200여 폭이 작성되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ㆍ중ㆍ일에 산재되어 편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실물 또는 사진본 등을 합하여 57편이다.
이러한 유물은 남산 안의사 기념관 등 국내 각처에 소장된 26폭의 유묵만이 현재까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보물로 지정되었다.
나머지 31폭은 한ㆍ중ㆍ일에 산재되어 유묵, 혹은 유묵의 영인본으로만 알려져 국가보물로서의 심의절차를 마치지 못한 것이다.

 

1972년 8월 16일 보물 제569호로 지정되었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쏘아 죽이고 1910년 2월 14일 사형선고를 받고 순국할 때까지 뤼순감옥에서 쓴 200여 점의 묵서 중 26점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 보물 제569-1호 백인당중유태화《百忍堂中有泰和, 庚戌 2월》 개인 소장
  • 보물 제569-2호 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 庚戌 3월》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3호 년년세세화상사세세년년인부동《年年歲歲花相似歲歲年年人不同, 庚戌 3월》 리움미술관 소장
  • 보물 제569-4호 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恥惡衣惡食者不足輿議, 庚戌 3월》 청와대 소장
  • 보물 제569-5호 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개정략불개진가련《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眼和局未成猶慷慨政界不改直可憐, 庚戌 3월》 숭실대학교 소장
  • 보물 제569-6호 견리사의견위수명《見利思義見危授命, 庚戌 3월》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7호 용공난용연포기재《庸工難用連抱奇材, 庚戌 3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8호 인무원려난성대업《人無遠慮難成大業, 庚戌 2월》 숭실대학교 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9호 오노봉위필청천일장지삼상작연지사아복중시《五老峰爲筆靑天一丈紙三湘作硯池寫我腹中詩, 庚戌 3월》 홍익대학교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10호 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歲寒然後知松栢之不彫, 庚戌 3월》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11호 사군천리이표촌성망안욕천행물부정《思君千里以表寸誠望眼欲穿辛勿負情, 庚戌 2월》 개인 소장
  • 보물 제569-12호 장부수사심여철의사임위기사운《丈夫難死心如鐵義士臨危氣似雲, 庚戌 3월》 숭실대학교 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13호 박학어문약지이례《博學於文約之以禮, 庚戌 3월》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14호 제1강산《第一江山, 庚戌 2월》 숭실대학교 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15호 청초당《靑草塘, 庚戌 3월》 개인 소장
  • 보물 제569-16호 고막고어자시《孤莫孤於自持, 庚戌 2월》 개인 소장
  • 보물 제569-17호 인지당《仁智堂, 庚戌 2월》 리움미술관 소장
  • 보물 제569-18호 인내《忍耐, 庚戌 3월》 개인 소장
  • 보물 제569-19호 극락《極樂, 庚戌 3월》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20호 운재《雲齋, 庚戌 3월》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21호 욕보동양선개정계시과실기추회하급《欲保東洋先改政界時過失機追悔何及》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22호 국가안위노심초사《國家安危勞心焦思》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23호 위국헌신군인본분《爲國獻身軍人本分》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24호 천여부수반수기앙이《天與不受反受其殃耳》 개인 소장
  • 보물 제569-25호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보물 제569-26호 임적선진위장의무《臨敵先進 爲將義務》 해군사관학교박물관 소장 

 

 

# 보물로 지정된 유묵

 

 

 

 

 

 

 

 

 

 

 

 

 

 

 

 

 

 

 

 

 

 

 

 

 

 

 

 

 

# 그 외 유묵

 

 

 

 

 

 

 

 

 

 

 

 

 

 

 

 

 

 

 

 

 

 

 

 

 

 

 

 

 

 

 


'삼군지용가탈 필부지심불가탈(三軍之勇可奪 匹夫之心不可奪)'


'삼군지용가탈 필부지심불가탈(三軍之勇可奪 匹夫之心不可奪)' 유묵은 '논어' 자한(子罕) 편에 실린 '삼군가탈수야 필부불가탈지야'(대군을 통솔하는 장수는 사로잡을 수 있지만 어느 평범한 사내가 간직한 뜻은 빼앗을 수 없다) 라는 공자의 말을 고쳐 쓴 것으로 보인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유묵이 담긴 엽서의 발행처다. 엽서 뒷면에 적힌 '동경인쇄주식회사 대련출장소'는 1910년 당시 여순·대련에서 발행되었던 '만주일일신문'이 인쇄되던 곳이다. 


- 출처 : MBC 특집다큐멘터리 '안중근 105년, 끝나지 않은 전쟁' 방송 내용 중에서...(방영일자 : 2014년 8월 15일)

 

 

* 출처

- 문화재청, 안중근의사유묵

- 두산백과, 안중근의사유묵

- 위키백과, 안중근 의사 유묵

- 안중근의사 기념관

- 조선일보, 안중근

 

 

* 분실문화재 정보 : 보물 제569-4호

- [분실] 보물569-4호 안중근유묵(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 1점.hwp ( 5914624 byte )

 

[분실] 보물569-4호 안중근유묵(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 1점.hwp

 

[분실] 보물569-4호 안중근유묵(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 1점.hwp
5.7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