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풀리지 않는 의문 14가지 - 블랙홀은 왜 검지 않을까 과학프론티어의 풀리지 않은 의문들

BUZZWeb 2014. 1. 10. 15:22

풀리지 않는 의문 14가지



◎ 미 과학자 로버트 헤이즌·맥사인 싱어 ‘블랙홀은 왜…’ 발간/우주의 운명·유전암호 비밀 등 미래과학 거대과제 제시


과학의 급속한 발전에도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들이 무수히 많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것들은 무엇일까. 지구과학자인 조지메이슨대 로버트 헤이즌 박사와, 생화학자인 맥사인 싱어 카네기연구소장은 최근 발간한 책 〈블랙홀은 왜 검지 않을까­-과학프론티어의 풀리지 않은 의문들〉에서 미해결 거대과제로 14가지를 선정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가 발행하는 월간지 〈테크놀로지 리뷰〉 7월호에 소개된 이 책 내용은 미래 과학연구의 방향을 짐작케 해준다.

1.암흑물질의 정체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99%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 물질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야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다.

2.우주의 운명
우주는 탄생 이래 지속적으로 팽창해왔다. 그러나 팽창은 영원히 계속될 것인가, 아니면 어느 순간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 것인가. 그렇지도 않으면 언젠가 팽창도 수축도 아닌 영원한 평형상태에 머물까.

3.모든 것을 설명하는 이론
물리학자들은 모든 소립자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하나의 통일된 이론을 찾고 있다.

4.원자 어떻게 결합하나
결합한 원자들은 개별 원자로 있을 때에는 없던 새로운 특성을 발휘한다. 새로운 물질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끝없이 시행착오가 거듭되고 있다.

5.대체에너지 개발
값싸고 깨끗한 에너지 공급은 한계에 부닥쳤다. 태양열과 핵융합을 이용한 새로운 에너지 개발로 이를 극복할 수 있을까.

6.지구속에서는 무슨 일이 진행되고 있을까
지구 내부는 지상에 천재지변을 몰고 온다. 지진데이터와 시뮬레이션의 결합으로 이 역동적 과정을 파악하려는 작업이 진행중이다.

7.지구의 인구수용 한도
현 상태로 인구가 늘 경우 21세기 중반에는 2백50억명을 초과한다고 한다. 최대 수용한도는 미래 지구환경 문제의 핵심이다.

8.지구생명체 탄생과정
여러 의문점 가운데서도 생명체 발생과정은 필수적인 연구대상이다. 원시 단세포와 생명체 이전의 유기화합물 조합에 대한 실험들은 생명체의 초기역사를 규명하는 열쇠다.

9.유전암호 풀기
모든 생명체는 DNA와 RNA라는 유전적 언어를 갖고 있다. 8만개의 인간유전자 역할을 이해한다면 병마 격퇴와 새 유기체 개발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0.진화의 과정
생명체의 진화에 대한 자연선택이론이 널리 퍼져 있지만 아직도 의문점은 많다. 경쟁체계를 복잡하게 만들면서 생명체의 발전을 규정짓는 규칙들에 대해 인간은 해답을 갖고 있지 않다.

11.단세포의 발달과정
난자와 같은 단세포에서 시작해서 인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생물학의 가장 오랜 미스터리다. 그러나 파리, 지렁이 등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인간의 발생과정에 대해 별다른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12.기억의 비밀
인간 의식의 이해는 아직도 과학보다 철학 영역에 있다. 두뇌속에 있는 정보저장 창고의 물질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됐다.

13.행위와 유전자의 관계
인간 행위와 유전자는 깊게 연결되어 있지만 그 연결관계가 너무나 복잡해 풀 수 없다.

14.외계생명체의 존재
인간은 우주에서 외톨이 생명체인가 아닌가. 우주속에서 지구를 이해하는데 이것처럼 심오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도 없다.

헤이즌 박사는 이 책 말미에서 “지식이 축적될수록 우리가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를 깨닫게 된다”며 “이것이야말로 과학의 가장 흥미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곽노필 기자>


* 출처 : 한겨레, 1997.07.23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미디어 가온


----------------------------------


# 관련 도서

풀리지 않는 과학의 의문들 14

과학의 열쇠 - 과학의 문을 환하게 여는 18가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