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zzWeb/인생경영

승수의 법칙(승수효과)

BUZZWeb 2010. 6. 28. 17:10

# 숭수의 법칙

 

 

1을 제곱해도 1입니다.
1을 10제곱해도 역시 1입니다.

 

현상 유지를 고집한다면 내일도 오늘과 같습니다.

 

10% 노력을 더해서 1.1로 만들어 봅시다.

 

1.1의 제곱은 1.2이고,
1.1의 10제곱은 2.6입니다.

 

10%의 노력을 더하면 미래가 달라집니다.

 

무한대까지 이르기 위해 필요한 것은
노력의 강도가 아니라 노력하는 기간입니다.

 

10%만 게을러지더라도 0.9가 되고 맙니다.

 

0.9의 제곱은 0.8이고,
0.9의 10제곱은 0.3에 불과합니다.

현실에 안주하고 주저앉는 것은 강퇴를 의미할 뿐입니다.

 

* 관련 법칙 : 붉은 여왕의 법칙, 1만시간의 법칙, 72의 법칙

 


# 승수효과(승수이론)

승수효과(乘數理論 theory of multiplier)란 원래 경제통계학의 용어로서, 어떤 일정량의 투자증가가 얼마만큼의 소득증가를 가져오는가를 밝히는 이론입니다.

 

경제현상에서 어떤 경제변량(經濟變量)이 다른 경제변량에 미치는 효과를 파급효과까지 포함시켜서 최종적으로 어느 정도의 총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 또 그 과정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최종적인 총효과를 승수효과라고 하며,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하여 그 변수를 포함한 다른 변수의 변화가 어느 정도의 비율인가를 나타내는 것을 승수라고 합니다.

 

승수의 값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은 정부가 실행하는 총수요관리정책의 유효성에 있어 중요한 일이 됩니다.

그 이유는 정부지출 가운데 공공투자를 증가시키는 정책이 있을 때 승수의 값에 따라 공공투자에 의하여 유발되는 소득의 증가 양상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승수이론은 J.M. 케인스경제학의 중심을 이루는 이론의 하나로서, 케인스는 이 이론에 의해 투자가 파급효과를 통하여 결국은 같은 액수의 저축을 낳는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투자승수 외에 여러 가지의 승수가 있는데, 정부지출의 증가가 얼마만큼 소득증가를 가져오는가를 나타내는 것이 정부지출승수이며, 수출의 증가가 얼마만큼 소득증가를 가져오는가를 나타내는 것이 수출승수입니다.

 

승수이론은 경기순환을 설명하는 데 가속도 원리와 조합해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이 용어가 정치, 스포츠, 마케팅분야 등 폭넓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