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의 '역사 스페셜'은 교양 프로그램이면서도 자주 보게 된다. 역사에 대한 관심도 있거니와 숨겨진 사실을 파헤쳐가는 흥미진진한 이야기 꺼리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얼마 전부터 훈민정음에 관한 얘기를 하고 있다. 흔히 아는 바와 같이 훈민정음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만든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 당시 집현전 학자들의 대부분은 한글 창제에 반대를 하였으며, 실제 한글을 만든 것은 세종대왕이었다는 사실이다. 위대한 왕이었기에 또 하나의 위대한 언어학자였을 세종대왕을 우리가 간과하고 있었다는 점을 다시 새겨준 것이다. 지난 주에는 한글 창제 이전의 구결문자가 우리 문자와 연관성이 있지 않은가에 대한 얘기를 했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흔히들 창문 문틀의 모양에서 힌트를 얻었다던지, 같은 우랄 알타이어계의 타국 문자에서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물론 창문 문틀 얘기는 후세의 사람들의 머리속에서 나온 얘기이고 타국 문자에 영향을 받은 이야기는 해례본 발견 전까지는 유력한 설이기도 했었다. 그러나 최근 주장은 우리나라에 전해오던 구결문자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는가에 학계 관심을 쏠려 있는 듯 하였다.
문자는 언어를 기록하는 가장 발달된 도구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 규칙을 이해할 때만 유용한 것이다. 이 세상에는 잊혀진 문자들이 수없이 많다. 오늘날 실제 잊혀진 문자들이 많다. 라틴어는 그나마 나은 편이고 고대 문명의 발상지에서 발견되는 쐐기문자와 같은 것들은 아직 그 의미 조차 알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고 한다. 그 자체가 암호인 것이다.
얼마 전에 히스토리 채널에 나온 얘기 중 외국의 어떤 이가 남겨 둔 문서가 전부 암호로 구성된 것이 있다고 한다. 고대의 비밀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는데 현존하는 컴퓨터로도 그 문자의 체계를 알아내지 못해 아직도 미결로 보관 중인 문서라고 한다. 아마도 그 문서의 죽은 저자만이 그문서를 읽을 수 있을게다.
그리고 조금 다른 얘기를 해 보자.
정부를 비롯한 학계에서 국어종합발전계획이라는 걸 내세우고 있다. 이번 계획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국어 기초 DB구축, 한국어 통합검색 시스템 등과 같은 정보화 기반 구축사업이다. 어제, 오늘의 얘기는 아니지만 한글은 가장 늦게 등장한 만큼 잘 만들어진 문자임에는 틀림없다. 반면 기록으로 남기기엔 부적합한 문자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영어로 된 원서를 보면 보통 1권의 페이퍼북으로 된 걸 쉽게 볼 수 있다. 그런데 동일한 책의 번역서는 보통 2권이거나 두께가 좀 더 두꺼운 편이다. 물론 책의 지질이나 문자의 크기만을 얘기하자면 우리나라 책이 휠씬 읽기에 편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웹관련 서적을 보다가 느낀 점인데 확실히 한글은 표기하는데 있어 영어의 2배의 공간을 차지한다. 문자의 형태에서 기인된 것인데 컴퓨터를 영어권에서 만들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글의 한 글자는 2바이트로 구성된다. 자연히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국내 출판사들이 책값을 더 받으려고 1권짜리 원서를 2권으로 만드는 이유도 있겠지만, 우리 한글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문자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기 때문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그렇다면 같은 내용의 문서를 보관한다면 한글은 확실히 공간적인 면만 고려한다면 부적합한 것은 아닐까? 디지털화한다고 하여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컴퓨터의 구성체계를 완전히 바꾼다면 모를까?
위 내용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면 학술적인 근거나 이론적인 바탕에 의거한 내용이 아님을 밝힌다.
'BuzzWeb > 홀로토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디오엔 수다만 있고 음악이 없다 (0) | 2008.12.26 |
---|---|
잊혀진 과거는 기억하고 싶은대로... (0) | 2008.12.26 |
고무뒤주 (0) | 2008.12.26 |
못 된 버릇... (0) | 2008.12.26 |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모두 한글자로 되어 있다 (0) | 2008.12.26 |